반응형 모두를 위한 문법 강의31 to 부정사 개념! '부정' 뜻은? 오늘은 간단히 to 부정사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o 부정사는 '부정사'에 'to'를 붙인 것인데, 여기서 '부정사'는 '동사원형(동사의 원래 형태, 기본 형태)'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동사원형 앞에 to를 붙인 것이 to 부정사'라고 할 수 있는데요, '부정'이란 말의 뜻은 뭐고, 대체 왜 붙은 걸까요? to 부정사 개념 간단해! 부정사 = 동사원형 to 부정사 = to 동사원형 = 동사원형 앞에 to를 붙인 것 to를 붙인 이유는? 동사를 다른 품사로 바꿔 주기 위해 동사를 어떤 품사로 바꾼 것? 명사, 형용사, 부사 이렇게 하는 이유는? 외워야 할 단어 수가 너무 많아지는 것을 막기 위해! 다시 말하면, '언어의 경제성' 때문에! 실제 예로 설명드릴게요 이번엔. '사용하다'라는 뜻의 동사.. 2022. 6. 7. to 부정사 용법 3가지 각각의 해석 학생들의 영어 공부의 커다란 걸림돌! to 부정사 용법 3가지와 각각의 해석에 대해 깔끔하고 간단하게 정리해두었습니다. 즐겨찾기 해두시고 to 부정사 독해하다 막힐 때 다시 찾아오시기 바랍니다! 자 그럼, 설명 시작합니다. to 부정사 용법 3가지 각각의 해석 to 부정사 용법이라 하면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형용사적 용법, 부사적 용법이라 하는데요, 저는 사실 이 용어가 영어를 가르칠 때, 영어를 배울 때 그다지 효율적이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냥 이렇게 설명하고 싶어요. to 부정사는 동사원형 앞에 to를 붙여서 원래는 동사로 쓰이는 단어를 명사, 형용사, 부사로 바꾼 것이다. 이렇게 말하면 안 될까요? 이게 훨씬 짧고 이해하기 쉽지 않나요? 그리고 아래와 같이 정리하고 싶습니다. (더 아래에는.. 2022. 6. 6. 관계대명사 표 & 선행사 뜻 완벽히 알려드림 지난 포스팅에서는 관계대명사 개념에 대해 알아봤고, 오늘은 관계대명사 표 자료 제공 및 선행사 뜻 설명 포스팅입니다. 간단한 관계대명사 표와 한국 최고(?)로 자세한 관계대명사 표 둘 다 있으니 골라서 가져가세요! 아, 저는 '얘기하고 노래하는 너의 영어쌤'입니다! 관계대명사 표 먼저 간단한 관계대명사 표부터 확인하시죠. 어디서나 볼 수 있는 흔한(?) 관계대명사 표입니다. 이미지 파일로도 받아가실 수 있게 표 아래에 파일로도 첨부해두었습니다. 선행사 종류 관계대명사 주격 소유격 목적격 사람 who whose who(m) 사물 동물 which whose which 사람 사물 동물 that 없음 that 선행사 없을 때 what 없음 what ▼ 간단한 관계대명사 표 이미지 파일(파일 확장자 png) 다운.. 2022. 6. 4. 관계대명사 개념 완벽한 설명 명확한 문법 용어 이해는 영어 문법 정복의 가장 중요한 시작점이죠. 오늘 함께 정리해 볼 용어는 바로 관계대명사! 많은 영어 학습자들을 괴롭히는 개념입니다. 하지만 저와 함께 한 번만 이 관계대명사 개념을 잘 정리해두시면 앞으로 이것 때문에 고생하시는 일은 없을 겁니다. 오늘 포스팅이 도움이 된다면 주변 분들에게 링크(포스팅 주소)를 널리 퍼뜨려 주세요~ :) 관계대명사 우선, 관계대명사라는 용어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내용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관계대명사'는 '관계대명사가 하는 역할' 때문에 '접속대명사'라고 바꿔서 부를 수 있다. '접속대명사'는 '접속사+대명사'를 뜻하는데, 이는 '접속대명사' 한 단어가 '접속사'와 '대명사' 두 역할을 동시에 다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 2022. 6. 4. 동격 that 개념 예문으로 완벽 이해! [that 총정리 No.6] that에 대한 여섯 번째 포스팅이네요! (이전 포스팅이 궁금하신 분들은 글 아래쪽에 링크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동격 that 개념을 예문까지 보면서 완벽히 이해시켜드리겠습니다. 우선, 저는 학생들을 가르칠 때 동격 that을 '동격 접속사 that'이라고 설명합니다. 동격 that 개념 제가 동격 that을 '동격 접속사 that'이라고 설명하는 이유는 단순히 동격 that이라고만 부르는 과정에서 이 that이 어떤 역할을 하는 품사인지 모르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첫 번째로 기억할 내용은, 동격 that도 우리가 알고 있는 품사들 중 하나의 역할을 한다. 동격 that의 that은 '접속사'이다. 그럼 "그래, 동격 that이 접속사인 건 알겠는데, 접속사인 that의.. 2022. 6. 2.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반응형